top of page
Business Graphs

1. 

모성보호 복지제도는

기업의 성장 및 경쟁우위에 기여하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중요 요인으로 생각되어야 한다.

  • 모성보호제도의 활성화를 통한 여성인적자원개발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인적자원개발이 성취동기, 직무만족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, 또한 유능한 여성인력들이 결혼, 출산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한다.  

*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모성권활용을 통해 발생되는 비용보다 이를 통해 발생되는 이익이 더 크게 생기기 때문에 이윤창출이 목적인 CEO의 부정적인 인식이 바뀌게 된다.

실제로 미국의 고용평등관련 NGO기구인 Catalyst가 2004년에 발표한 ‘Connect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Gender Diversity’라는 보고서에 의하면 1996년부터 2000년까지 fortune 500대 기업 중 여성임원이 있는 353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기자본이익률(ROE: Return on Equity)과 시가대비투자수익률(TRS: Total Return to Shareholders)을 비교해 본 결과,

여성임원이 많은 기업의 average ROE는 17,7%인 반면 여성임원이 적은 기업의 average ROE는 13,1%였고, TRS의 경우 여성임원이 많은 기업은 127,3%를 달성했고 여성임원이 적은 기업은 95,3%를 달성했다.

둘째, 

노조의 설립이나 노조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근로자들이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모성보호제도 활용시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받을 수 있다.

악수

© 2023 by Name of Site. Proudly created with Wix.com

bottom of page